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서구, 만나고 싶은 서구

사진으로 보는 서구 풍경 10탄, 경서동 옹기전

사진으로 보는 서구 풍경 10탄, 경서동 옹기전


사진을 보면서 아, 하는 감탄과 함께 옛날을 떠올릴 분들이 있을 것이다. 살림살이 필수품이었던 독을 굽는 가마나 독(항아리)으로 가득 찬 경서동 벌판 풍경은 1970년대 초 무렵까지는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빠르게 변하는 세월 속에 이런 친숙했던 풍경들은 가뭇없이 사라지고 이제는 사진 속에만 남아 있는데, 이 사진조차도 좀 지나면 설명을 해줄 사람이 없을 것이다.



  



경서동 지역은 우리나라 최고의 녹청자도요지가 있는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서구는 경서동 녹청자도요지뿐만이 아니라 옹기에 필요한 양질의 질흙이 풍부했던 듯 이에 관련한 지명이 몇 군데 남아 있다. 불확실하나 백석동의 독쟁이, 시천동의 점말, 경서동의 윗독점, 아래독점 등이 그것이다. 물론 이밖에도 검암동과 공촌동에도 큰 옹기 가마가 있었다고 한다.


“빈정촌은 빈정천이 지나가는 빈정교 주변 마을을 가리킨다. 서곶로에서 국제컨트리클럽 간판을 보고 서쪽으로 진입하는 길의 오른쪽은 윗독점(검암동 쪽)이고 왼쪽(연희동 쪽)은 아랫독점이라고 부른다. 지난날 이곳에 가톨릭 신자들이 모여들어 공소를 열고 옹기를 구웠는데 가마가 위아래로 나뉘어져 있었다. 빈정촌과 아랫독점은 동일하다고 보아도 된다.


과기평(過騎坪)은 위의 빈정촌, 독점 등을 아우르는 지명이기도 하다. 병인양요 후 이곳에 계우정이라는 군사기지가 설치되고 기병들이 말을 달려 지나는 곳이라 그런 이름이 붙었다. 이 마을 출신 원로들은‘괴기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과기벌’의 음운 변화로 보인다. 위의 빈정촌, 독점, 과기평은 오늘의 행정구역으로 경서동과 공촌동과 검암동의 경계가 겹쳐 있다.”


사진 속의 가마와 옹기전 풍경은 사진작가 박근원(朴根遠) 씨가 1960년대에 촬영한 것으로 촬영지를‘경서동’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바로 과기평이 아닌가 싶다. 넓은 벌의 옹기전 풍경은 여름이고 독 굽는 가마 사진은 눈 쌓인 겨울풍경으로 대조를 이룬다. 옹기장수가 지게에 김칫독, 장독, 자배기 등을 잔뜩 지고 마을을 다니던 것이 까마득한 옛날이 되고 이젠 김치냉장고때문에 어느 집에서도 항아리 하나를 제대로 볼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