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과 재난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1.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무엇인가요?
유해화학 특수사고 대응단, 풍수해, 지진․지진해일 인적재난 등 각종 재난에 대비하여 국가의 재난대응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안전행정부, 소방방재청 주관으로 매년 실시되는 재난대응 종합훈련입니다.
2. 금년 훈련은 언제 실시되고 내용은 무엇인가요?
○ 훈련 기간 : 2014. 10. 21 ~ 23 (3일간)
- 10월 21일에는 기관별 초기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안전관리 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별 재난취약요인 및 재난관리대책을 점검하고
- 10월 22일에는 복합재난대응 현장종합 훈련 및 지역별 특성화 민방위 시범 훈련이 실시될 예정이며,
※시간은 지역실정에 맞게 자율지정
- 10월 23일에는 골든타임 긴급구조 합동훈련 및 불시 기능훈련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3. 우리지역 재난안전한국훈련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 서구는 코레일공항철도(검암역) 직통열차 탈선사고를 가정한 토론중심 실행기반훈련을 중점훈련으로
실시하며,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1일차(10.21) : 공무원 비상소집훈련, 서구 안전관리위원회 개최
- 제2일차(10.22) : 토론중심 실행기반훈련("문제해결형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훈련)
[가상상황 - 코레일공항철도(검암역) 직통열차 탈선 및 전복]
- 제3일차(10.23) : 국민 체감형 훈련(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대피),
소소심(소화기, 소화전, 심폐소생술) 익히기 교육
4. 재난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① 지진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 집 안에 있을 경우
☞ 테이블 밑으로 몸을 보호
☞ 사용 중인 불을 끄자
☞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
- 집 밖에 있을 경우
☞ 낙하물 주의
- 상가에 있을 경우
☞ 침착하게 행동
- 엘리베이터에 있을 경우
☞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려 대피
- 전철을 타고 있는 경우
☞ 고정물을 꽉 잡자
-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 도로 우측에 정차
- 산이나 바다에 있을 경우
☞ 산사태 등 위험지역 신속 대피
- 부상자가 있는 경우
☞ 서로 협력해서 응급구호를
- 피난은 마지막 수단
☞ 대피는 도보로 짐은 최소로
-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
☞ 유언비어를 믿지 말자
② 지진해일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 일반적으로 일본 서해안의 지진대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보고 되면 약 1~2시간 후
한국의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도달하게 된다.
- 지진해일 도달 가능 영역은 한국의 동해안 전역이고, 파고 3~4m 정도의 지진해일이 발생한다.
- 심한 지면의 진동을 느꼈다면 가까운 곳에서 큰 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해안지역에서는
수 분 이내 지진해일이 해안으로 밀려올 수 있다.
- 해안에서 지진을 감지하거나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었을 때 높은 곳으로 대피한다.
저지대 도로에서 운전 중이라면 즉시 높은 지대 도로로 대피한다.
- 지진해일이 발생하였을 때 ‘더 멀리’가 아니라 ‘더 높은’ 지대로 대피한다. 지정된 대피소로
피할 시간이 없다면 건물의 3층 이상으로 대피하면 된다.
- 지진해일 특보가 해제되기 전까지 해안의 낮은 지역으로 가지 않는다.
③ 전시 국민행동요령
④ 지하철 화재발생시 대피요령
- 노약자·장애인석 옆에 있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합니다.
- 여유가 있다면 객차마다 2개씩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
-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으면 수동으로 문을 열고, 여의치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깨고, 망치가 없으면 소화기로 유리창을 깹니다.
- 스크린도어(PSD)가 열리지 않을 경우는 스크린도어에 설치된 빨간색 바를 밀고 나갑니다.
- 코와 입을 수건, 티슈, 옷소매 등으로 막고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합시다.
- 정전 시에는 대피유도 등을 따라 출구로 나가고,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때는 벽을 짚으면서
나가거나 시각장애인 안내용 보도블록을 따라 나갑시다.
- 지상으로 대피가 여의치 않을 때는 전동차 진행방향 터널로 대피합시다.
Q&A
Q : 출입문을 수동으로 어떻게 열 수 있나요 ?
A :
- 출입문 쪽 의자아래 또는 벽면에 있는 조그만 뚜껑을 여세요.
- 뚜껑 속의 비상 코크를 잡아당기거나, 빨간색 비상핸들을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립니다.
공기 빠지는 소리가 멈출 때까지 3~10초간 기다립니다.
- 출입문을 양쪽으로 밀어서 여세요.
⑤ 고속철도 화재발생시 대피요령
- 차량 출입문 옆에 있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승무원에게 연락합니다.
- 여유가 있다면 객차마다 2개씩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
- 코와 입을 수건, 티슈, 옷소매 등으로 막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차로 이동합니다.
- 기관사 및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대피합니다.
- 승무원이 승강문을 개방하면 질서 있게 대피합니다.(필요시, 비상사다리 설치)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줍니다.
- 승강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반대선 선로에는 절대로 대피하지 않도록 하고, 선로변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 터널내에서는 자세를 낮추고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 및 비상대피소로 이동합니다.
- 안전한 장소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Q&A
Q : 고속열차 승강문을 수동으로 어떻게 열 수 있나요 ?
A :
- 승강문 왼쪽 상단 에어제거 버튼을 내립니다.
- 공기 빠지는 소리와 함께 승강문 쇄정버튼이 밖으로 나옵니다.
- 승강문 쇄정버튼을 잡아당깁니다.
- 승강문이 밖으로 튀어나가면 승강문 손잡이를 옆으로 잡아당겨 문을 엽니다.
⑥ 고속철도 탈선·충돌사고 발생시 대피요령
- 기관사 및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대피합니다.
- 승무원이 승강문을 개방하면 질서 있게 대피합시다.(필요시, 비상사다리 설치)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줍니다.
- 승강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반대선 선로에는 절대로 대피하지 않도록 하고, 선로변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 터널내에서는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 및 비상대피소로 이동합니다.
- 안전한 장소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⑦ 고속철도 테러(독가스) 발생시 대피요령
- 차량 출입문 옆에 있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승무원에게 연락합니다.
- 코와 입을 수건, 티슈, 옷소매 등으로 막고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차로 이동합니다.
- 기관사 및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대피합니다.
- 승무원이 승강문을 개방하면 질서 있게 대피합시다.(필요시, 비상사다리 설치)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줍니다.
- 승강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반대선 선로에는 절대로 대피하지 않도록 하고, 선로변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 터널내에서는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 및 비상대피소로 대피합시다.
- 안전한 장소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Q&A
Q : 고속열차 승강문을 수동으로 어떻게 열 수 있나요 ?
A :
- 승강문 왼쪽 상단 에어제거 버튼을 내립니다.
- 공기 빠지는 소리와 함께 승강문 쇄정버튼이 밖으로 나옵니다.
- 승강문 쇄정버튼을 잡아당깁니다.
- 승강문이 밖으로 튀어나가면 승강문 손잡이를 옆으로 잡아당겨 문을 엽니다.
'맛있는 서구, 만나고 싶은 서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서구 제5회 서구복지박람회와 함께 희망 디딤돌 모금운동 개최 (0) | 2014.10.23 |
---|---|
인천시 서구 승용차선택요일제 안내 (0) | 2014.10.22 |
인천시 서구 제1회 아줌마축제 개최 (0) | 2014.10.21 |
인천시 서구의 훈훈한 소식을 전해드려요! (0) | 2014.10.20 |
인천시 서구, 2014년 노인의 날 맞이 어르신 큰잔치 성황리 개최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