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구 향토역사순례 42탄 <경인아라뱃길의 매화동산>
인천시 서구 검암동의 공항철도 검암역사를 지나면 모습을 보이는 아라뱃길 시천교 밑에서 동쪽으로 조금 가다 보면 '매화동산'이라는 공원이 있다. 최근 이곳에 '검여유희강 선생 생가 마을’ 이라는 표지석을 K·water(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에서 건립했다. 선생의 생가 터는 매화동산과 옛 마을 중간지점으로 매화동산에서 약 50여m 되는 곳인데 지금의 경인아라뱃길 수로 한가운데 있었다고 전한다.
본래 매화동산은 경인아라뱃길의 문화인프라 확충을 위해 매화를 주제로 자그마한 공원을 조성하고 오래된 매화를 심고 매화와 관련된 한시를 안내판에 새겨 전시하는 공간으로 이곳에는 자그마한 정자도 있는데 '꽃마루'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이곳의 위치는 시천동에 속하는데, 마을 뒷산인 오룡산(五龍山)을 뒤로하고 앞으로는 계양산과 화산(꽃뫼) 그리고 허암산이 바라보이는 사방 풍광이 아름다운 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예전에는 이곳 지명을 시계(柴溪), 우리말로 '시시내'라 하였다가 현재는 시천동(始川洞)으로 불려진다.
검여(劍如) 유희강(柳熙綱) 선생은 1911년 진주 유씨의 동성마을인 시계(시시내)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한학(漢學) 중심의 가학(家學)을 통해 서예의 토대가 되는 한자와 한시, 서예를 일찍부터 수련했다. 선생의 아호는 검여(劍如)·소완재주인(蘇阮齋主人)·몽학선헌주인(夢鶴仙軒主人)·불함도인(不咸道人)·시계외사(柴溪外史) 등이 있는데 그 중 칼처럼 날카롭고 예리한 지성을 의미하는 '검여'라는 아호를 즐겨 썼고, 시계외사(柴溪外史)는 고향 마을을 따서 지은 것이다. 1937년 성균관대학교 전신인 명륜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38년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 동방문화학회에서 중국회화 및 금석학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8·15광복 이듬해 36세의 나이로 시천동 본가로 귀향한 그는 미술인회(仁川美術人會)’를 결성하여 인천 미술계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1954년에서 1961년까지 인천시립박물관장, 1955년 대동서화연구회(大東書畵硏究會) 회장 및 미술가협회 중앙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검여는 보통 서예가들의 이력에 비춰 볼 때 이례적이라 할 만큼 늦은 나이인 43세가 되던 1953년에 등단하는데 첫 출품작이 제2회 국전에 입선하였고 최초의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이것을 시작으로 1967년 제16회 국전까지 계속 입·특선하는 영예를 누렸다. 그 후 서울 인사동에 검여서실(劍如書室)을 열어 본격적인 서예가의 길을 걸으며 대학에서 후학을 지도하기도 했다. 1968년에는 고혈압으로 인한 오른쪽 반신마비의 병고를 인간승리로 이겨내며 서예를 손에 놓지 않고 왼손(좌수)으로 검여만의 독특한 서체인 '검여체'를 완성하여 서예계의 큰 획을 그은 인물이기도 하다. 화려한 경력과 수상의 뒷면에 부단한 노력과 불굴의 예술정신으로 일궈낸 서예작품들을 통해 추사 이후의 명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렇듯 유서깊은 이곳 매화동산에 여러 뜻있는 분들의 성원과 함께 K·water(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의 주관으로 경인아라뱃길의 조성으로 수몰된 검여선생의 생가 마을 터를 기념하는 표지석과 그 좌우에 선생의 작품을 건립, 전시한 것이다. 1961년 작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 뜻을 가진 사람이면 마침내 일이 성사된다)’과 1963년 작 '적서승금(籍書勝金:책을 쌓아 두는 것이 금을 쌓아둠 보다 낫다)’ 등 2점의 선생 유필이 그것이다.
한편 이곳 매화동산에는 앞으로 2점의 서예 작품 외에도 이곳 이름에 걸맞는 검여의 '매화도’를 함께 전시할 계획으로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하겠다. 앞으로 이곳 매화동산을 비롯한 아라뱃길의 친수공간이 시민들이 지역문화를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향토사대중화를 위한 대표적인 문화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Green 서구 제218호
인천서구문화원 원장 박한준
'맛있는 서구, 만나고 싶은 서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서구 9월 둘째 주 훈훈한 소식 알려드립니다. (0) | 2015.09.14 |
---|---|
사진으로 보는 인천 서구 풍경 42탄! <가좌농민학교 개교 기념> (0) | 2015.09.09 |
인천시 서구 9월 첫째 주 훈훈한 소식 알려드립니다. (0) | 2015.09.07 |
사진으로 보는 인천 서구 풍경 41탄! 현재의 서곶초등학교! <서곶국민학교> (0) | 2015.09.02 |
인천시 서구 향토역사순례 41탄 <바름이 마을의 구슬원(球瑟院)> (0) | 201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