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서구, 만나고 싶은 서구

인천 서구 향토역사순례 17탄, 석호가정별업도(石湖佳亭別業圖)


인천 서구 향토역사순례 17탄, 석호가정별업도(石湖佳亭別業圖)


조선 개국공신인 숙위공 조반(趙: 1314~1401)이 가정동에 가정별장(佳亭別莊)을 지은 때는 그가 조정에서 판중추원사를 지내고(1395) 상의문하부사를 거쳐 참찬문하부사에 이를 때였다고 한다. 이곳에 정자를 세우게 된 연유를 관련 문헌은, 공의 부인인 정경부인 합천이씨의 고향이기 때문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정자는 축곶산 남쪽 작은 봉우리에 위치해 삼면이 산으로 둘러쳐져 있고 서쪽으로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부평부읍지 문헌 '고적조'에도 가정(佳亭)은 석곶면 개국공신 부흥군 숙위공 조반의 별업(별장)이며, 둘째아들인 경은당 조서강이 이조참판 벼슬에서 물러난 뒤 머물렀으며, 세종조때 안평대군 용(瑢)이 왕의 명으로 학서(선비를 부르는 왕의 조서)를 보내 출사하도록 권유하였지만 끝내 응하지는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세종임금에게 이곳, 가정 별장의 아름다움을 화첩에 그리고 시 십삼수(十三首)를 적어 바쳤다고 하는데 안평대군, 정인지, 유의손, 이경석, 황정욱 등 당대의 유명 문인들이 시첩에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학역재 정인지의 석호가정시(石湖佳亭詩)에는 장제(長堤: 통일신라시대 부평지명)에서 남포(南浦: 평안남도 대동강 상류변)로 떠나는 배가 묘사되었으며, '가정별장'의 뒷동산에 듬성듬성 나 있는 작은 대죽이 그 아름다움을 더하는 모습을 노래했다. 또한 안평대군의 시에는 산기슭의 작은 오두막집의 정겨움이 주인의 마음을 닮아 마음씨가 좋은 것 같다고 묘사하며 문밖의 꽃향기로 술을 빚고 창가에 앉아 거문고를 타는 욕심 없는 노후의 한가함을 노래했다.


또한 '유의손'은 흰 비단위의 은은한 수묵화를 노래하며 가정의 보리밭, 갈대숲, 태공이 놀던 낚시터, 수풀, 목동의 피리소리, 장사배가 머물던 언덕의 저녁연기, 당집터의 평안함, 소나무와 대죽의 오랜 세월의 흔적 등을 노래하며 가정의 아름다움을 시로 남겼고, 경은당 조서강은 중국의 '소상팔경'(중국 호남성 양자강 남쪽의 소상과 상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지명)을 가정과 비유해 시를 남겼다.


가정터 표지석에 적혀 있는 '가정시'에는 '한적한 두메집이 십리 뜰에 꽃이 덮여있고, 거나하게 술을 마시고 나귀를 타고 가정에 내려오니 흥이 절로 난다'라는 시도 전해지는데, 이 시는 추사 김정희 이래 최고의 서예가로 칭송되는, 문중의 후손 '검여 류희강 선생'이 서예작품으로 남겼다.



(사진 : 석호가정별업도)



이렇듯 그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가 많았던 별장 '가정'이, 400여년이 지난 헌종 3년(憲宗:1837)에 '석호가정별업도'라는 시제로 채택되어 치러진 전시문과병과에서 급제한 시천동 출신의 '계북 류태동(柳泰東: 1792~1864)'의 시험답안지(석호가정별업도 詩)로 문중에 전해 내려와 소개하고자 한다.


'석호가정별업도 詩'에는 '가정'의 아름다운 8경이 그림에 담겨있는데, 안개 낀 노을의 아름다움을 평천(당나라 이덕유의 별장인 평천장)에 비유해 전원생활의 한가로움과 위야(송나라황제의 은사, 진종(眞宗)황제가 누차 출사를 전해도 나아가지 않고 은거 생활을 함에 머무르는 곳을 그림으로 그려오게 했다)가 머물던 곳처럼 거처의 배치가 훌륭했음을 비유하고, 바위에 핀 꽃과 물가의 새는 시를 아는 듯 푸른 먹물에 의해 석호(강소성에 있는 호수이름. 송나라때 효종황제가 시인이자 정치가인 '범성대'가 기거하던 곳에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가 생겨났다고 묘사했다.


그리고 '가정'이라는 정자는 별세계 풍광이 그림으로 그려놓은 듯 아름다웠고, 평생을 금서(거문고와 서적)로 한가롭게 즐겼으며 산문에 몇 번이고 학서(임금이나 태자가 현자를 초빙하는 글)가 이르렀다고도 하며 그림 속에는 바람과 안개를 담고 천개의 바위의 푸른 기운을 그리고 열흘의 단청(꽃을 가리킨다. 단청은 꽃이 울긋불긋한 모양)을 비단 위에 그렸다.


시첩과 그림에는 나무와 집의 아름다움을 담았는데, 고인의 은거지에는 호수와 산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그림 끝에 시를 적는 것을 행운으로 여겨 그림첩에 담긴 풍경과 풍속을 적었다. 또한 정자에는 꽃이 병에 꽂혀있고 구름과 달들을 낚으면서 흥이 나고 자욱한 안개너머에 뽕나무와 마를 심은 밭은 태평하며 시인과 화공이 오고가던 곳의 벽 가득 화필이 젖어있고 정자에서는 시를 논하는 선비가 탁주를 마시고, 허암에는 주역을 읽는 사람이 방점을 찍으며 낚시대, 목동의 피리가 날마다 보이는 한가한 곳에 집을 지을만하고, 정자의 찬란한 풍물에 시의 제목으로 옛날에 없던 영화로운 이름을 더한다고도 적고 있다.


'가정별업'을 노래한 시첩과 화첩 속에 담겨있는 아름다운 풍광이 지금은 그 흔적도 없이 변화하여 세월이 무상(無常)하기만 하지만 옛 선비들의 눈에 비쳤던 '가정'의 아름다움은 여전히 오늘날까지도 시로 전해오고 있다.


이제는 흔적도 희미해진 '가정'에 담긴 역사와 유래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이 옛 역사 속의 가정의 정자(별업)를 상상해보는 여유를 잠시나마 갖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지난 호에 이어 서술해본다.


박한준(인천서구문화원장)

자료 : Green 서구